맨위로가기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경기는 일본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진행되었다. 예선, 준결승, 결승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라운드에서 선수들은 6번의 다이빙을 시도하여 점수를 합산했다. 셰시이가 금메달, 왕쭝위안이 은메달, 잭 로어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10m 플랫폼 싱크로나이즈는 2021년 7월 26일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8개 팀이 6번의 다이빙을 통해 기량을 겨루어 영국, 중국,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가 메달을 획득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싱크로나이즈는 2021년 도쿄에서 개최되어 2인조 선수들이 3m 스프링보드에서 싱크로나이즈 점수와 실행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를 결정하는 종목으로, 중국, 미국, 독일이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올림픽 다이빙 남자 스프링보드 -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1912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린 대회 종목으로, 독일 선수들이 금, 은, 동메달을 모두 획득하였다.
  • 올림픽 다이빙 남자 스프링보드 - 1908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1908년 런던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종목은 화이트 시티 경기장에서 진행되었으며, 알버트 자코비가 금메달, 조지 가빈이 은메달, 헨리 테일러가 동메달을 획득했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20년 하계 올림픽 축구 남자
    2020년 하계 올림픽 남자 축구는 일본에서 16개 팀이 참가하여 브라질이 금메달을 획득했으며,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무관중 경기가 진행되고 비디오 판독 시스템이 처음 도입된 연령 제한 토너먼트이다.
  • 2020년 하계 올림픽 남자 종목 -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
    2020년 하계 올림픽 사격 남자 10m 공기권총은 2021년 도쿄 올림픽에서 자바드 포루기가 금메달, 다미르 미케츠가 은메달, 팡웨이가 동메달을 획득했으며, 자바드 포루기는 결선에서 올림픽 기록을 경신했다.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 [올림픽 종목 정보]에 관한 문서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종목남자 3m 스프링보드
하계 올림픽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픽토그램
경기장도쿄 아쿠아틱스 센터
날짜2021년 8월 2일 (예선 & 준결승) 2021년 8월 3일 (결승)
참가 선수29
참가 국가20
이전 대회2016
다음 대회2024
메달리스트
금메달셰시이
금메달 국가CHN
은메달왕쭝위안
은메달 국가CHN
동메달잭 로어
동메달 국가GBR

2. 경기장

2020년 하계 올림픽 다이빙 남자 3m 스프링보드 경기는 도쿄 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에서 열렸다.[5]

도시경기장비고
도쿄도쿄 아쿠아틱스 센터전 경기


3. 경기 방식

경기는 예선, 준결승, 결승의 세 단계로 진행되었다.[6] 각 라운드에서 선수들은 6번의 다이빙을 실시하며, 이 중 최소 한 번은 5개의 그룹(앞으로, 뒤로, 뒤집기, 안으로, 회전)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여섯 번째 다이빙은 어떤 그룹에서든 가능하지만, 이전에 실시했던 다이빙 동작을 반복할 수는 없다.[2]

각 다이빙은 도움닫기, 안정성, 뛰어오르는 높이, 공간 자세, 입수 자세, 각도 등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7명의 심판이 0.5점 간격으로 0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며, 최고 및 최저 점수 각 2개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점수의 합에 기술 난이도를 곱하여 해당 다이빙의 점수를 계산한다. 6번의 다이빙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최종 점수를 결정한다.[6][7]

3. 1. 예선

모든 선수는 6번의 다이빙을 하며, 이 중 상위 18명이 준결승에 진출한다.[6]

선수들은 6번의 다이빙에서 앞으로 뛰기, 뒤로 서서 앞으로 뛰기, 뒤로 뛰기, 앞으로 서서 뒤로 뛰기, 비틀기 중 한 가지를 시도해야 한다. 도움닫기, 안정성, 뛰어오르는 높이, 공간 자세, 입수 자세, 각도 등을 바탕으로 평가받는다. 7명의 심판이 0.5점 간격으로 0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며, 최고점수 2개와 최저점수 2개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점수를 합산하고 기술 난도를 곱하여 점수를 매긴다. 6번의 다이빙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최종 점수가 결정된다.[6][7]

각 라운드에서 6번의 다이빙 중 최소 한 번은 5개의 그룹(앞으로, 뒤로, 뒤집기, 안으로, 회전) 각각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 번째 다이빙은 어떤 그룹에서든 가능하지만, 다른 다이빙을 반복할 수는 없다. 각 다이빙은 공중제비, 자세, 회전, 접근 방식, 입수를 기준으로 난이도가 결정된다. 다이빙 난이도에는 제한이 없으며, 국제 수영 연맹(FINA) 규칙집에 따르면 가장 어려운 다이빙(뒤집기 4½회 파이크 자세 및 뒤로 4½회 파이크 자세)은 4.7이지만, 선수들은 더 어려운 다이빙을 시도할 수 있다. 채점은 7명의 심판단이 담당하며, 각 다이빙에 대해 0점에서 10점까지 0.5점 단위로 점수를 부여한다. 최고 점수 2개와 최저 점수 2개는 제외하고, 나머지 3개의 점수를 합산한 후 난이도를 곱하여 다이빙 점수를 계산한다. 6번의 다이빙 점수를 합산하여 라운드 점수를 결정한다.[2]

3. 2. 준결승

준결승은 예선을 통과한 18명의 선수들이 6번의 다이빙을 실시하여 상위 12명의 선수가 결승에 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2] 이때, 예선 점수는 초기화되었다.[2]

선수들은 6번의 다이빙 동안 앞으로 뛰기, 뒤로 서서 앞으로 뛰기, 뒤로 뛰기, 앞으로 서서 뒤로 뛰기, 비틀기 중 한 가지를 시도해야 했다. 각 다이빙은 도움닫기, 안정성, 뛰어오르는 높이, 공간 자세, 입수 자세, 각도 등을 기준으로 평가받았다. 7명의 심판이 0.5점 간격으로 0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했으며, 최고 점수 2개와 최저 점수 2개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점수를 합산하고 기술의 난이도를 곱하여 다이빙 점수를 산출했다. 6번의 다이빙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최종 점수가 결정되었다.[6][7]

3. 3. 결승

준결승을 통과한 12명의 선수들은 6번의 다이빙을 실시하며, 상위 3명의 선수가 각각 금메달, 은메달, 동메달을 획득한다.[2] 준결승 점수는 초기화된다.[2]

선수들은 6번의 다이빙을 할 때 앞으로 뛰기, 뒤로 서서 앞으로 뛰기, 뒤로 뛰기, 앞으로 서서 뒤로 뛰기, 비틀기 중 한 가지를 시도해야 한다. 각 다이빙은 도움닫기, 안정성, 뛰어오르는 높이, 공간 자세, 입수 자세, 각도 등을 토대로 평가받는다. 7명의 심판들이 0.5점 간격으로 0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하며, 최고 점수 2개와 최저 점수 2개를 제외한 나머지 3개 점수를 합산하고 기술 난도를 곱하여 점수를 매긴다. 6번의 다이빙 점수를 모두 합산하여 최종 점수를 부여한다.[6][7] 각 라운드에서 6번의 다이빙 중 최소 1번은 5개의 그룹 (앞으로, 뒤로, 뒤집기, 안으로, 회전)에서 각각 이루어져야 하며, 여섯 번째 다이빙은 어떤 그룹에서든 할 수 있지만 다른 다이빙을 반복해서는 안 된다.[2]

3. 4. 채점 방식

선수들은 도움닫기, 안정성, 뛰어오르는 높이, 공간 자세, 입수 자세, 각도 등을 토대로 평가받는다. 7명의 심판들이 0.5점 간격으로 0점부터 10점까지 점수를 부여한다. 최고 점수 2개와 최저 점수 2개를 제외하며 나머지 3개 점수를 합산한 값과 기술의 난도를 곱하여 점수를 부여한다. 6번의 다이빙 점수 결과를 합산하여 최종 점수를 부여한다.[6][7][2] 각 다이빙에는 공중제비, 자세, 회전, 접근 방식 및 입수를 기준으로 난이도가 할당된다. 다이빙 난이도에는 제한이 없다.[2]

4. 경기 일정

경기 시간은 일본 표준시 (UTC+9) 기준이다.[4]

날짜시간종목
2020년 8월 2일 (월요일)15:00남자 3m 스프링보드 예선
2020년 8월 3일 (화요일)10:00남자 3m 스프링보드 준결선
15:00남자 3m 스프링보드 결선

[1]

5. 예선

2019년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 다이빙 종목에서 12위권에 든 선수, 5개 대륙별 선수권대회 우승자, 2020년 FINA 다이빙 월드컵에서 18위권에 든 선수에게 출전권이 부여된다. 선수가 중복되어 남는 자리가 있다면 다이빙 월드컵 최종순위를 갱신하여 채워질 때까지 출전권을 배분한다. 선수들은 2020년 기준 만 14살 이상이어야 참가할 수 있다.[8]

2019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에서 상위 12명의 다이버는 자국 올림픽 위원회(NOC)에 출전 자격을 얻었다. 5개 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각 1명의 최고 다이버가 출전 자격을 얻었다(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자격을 얻은 다이버와 이미 2장의 출전 자격을 얻은 NOC의 다이버는 제외). 2020년 FINA 월드컵에서 그다음으로 좋은 성적을 거둔 선수들에게 추가 출전 자격이 주어져 최대 다이버 수가 채워질 때까지 자격이 주어진다.[3]

6. 결과

순위선수국가예선준결승결승
점수순위점수순위1차 시도2차 시도3차 시도4차 시도5차 시도6차 시도점수
셰시이중국520.902543.45191.8089.1086.4094.5094.35102.60558.75
왕쭝위안중국531.301540.50286.7084.0085.8084.0091.80102.60534.90
잭 로어영국445.056514.75385.0085.7581.6081.0096.9087.75518.00
4우하람대한민국452.455403.151276.5081.6091.2082.2568.4081.90481.85
5뎨브기니 쿠즈네초프러시아 올림픽 위원회444.757453.85574.8078.2076.0543.2092.7596.90461.90
6로멜 파체코멕시코479.253437.65683.3063.0073.1079.2033.2596.90428.75
7마틴 볼프람독일444.508423.00961.5077.0078.7569.7068.4071.40426.75
8안톤 다운-젠킨스뉴질랜드394.4516424.20867.5067.5070.5074.4066.0069.70415.60
9제임스 헬시영국458.404454.85458.5071.4073.5057.7585.5064.35411.00
10앤드루 카포비안코미국385.5017419.601076.5084.0042.0048.6076.5074.10401.70
11모하브 이샤크이집트422.7512408.851172.0039.1076.5069.3050.7585.50393.15
12데라우치 겐일본430.2010424.50767.5063.0029.7069.0056.1074.40359.70
13조나탄 루발카바도미니카 공화국383.0518398.6513진출 실패
14오스마르 올베라멕시코442.459384.8014진출 실패
15요나 나이트-위즈덤자메이카411.6513362.9515진출 실패
16알렉시 장다르프랑스423.6011357.8516진출 실패
17다니엘 레스트레포콜롬비아411.5014329.3017진출 실패
18세바스티안 모랄레스콜롬비아400.8515324.9518진출 실패
19니콜라스 가르시아스페인382.6019진출 실패
20로렌초 마르살리아이탈리아369.6020진출 실패
21파트리크 하우스딩독일364.0521진출 실패
22올레크 콜로디우크라이나351.2522진출 실패
23타일러 다운스미국348.7023진출 실패
24니키타 슐레이커러시아 올림픽 위원회339.7024진출 실패
25올리버 딩글리아일랜드335.0025진출 실패
26알베르토 아르발로스페인322.8526진출 실패
27리시친오스트레일리아320.3527진출 실패
28김영남대한민국286.8028진출 실패
29세드릭 포바나캐나다225.3529진출 실패


7. 메달리스트

종목
남자 3m 스프링보드셰시이 (중국)왕쭝위안 (중국)잭 로어 (영국)


참조

[1] 웹사이트 Tokyo2020 schedule https://tokyo2020.or[...] 2020-01-20
[2] 웹사이트 FINA Diving Rulebook, 2017–21 https://www.fina.org[...] 2020-01-23
[3] 웹사이트 Diving Qualification System, Tokyo 2020 https://www.fina.org[...] 2020-01-23
[4] 웹인용 Tokyo2020 schedule https://tokyo2020.or[...] 2020-01-20
[5] 웹인용 東京アクアティクスセンター http://www.2020games[...] 2016-09-04
[6] 웹인용 FINA Diving Rulebook, 2017–21 https://www.fina.org[...] 2020-01-23
[7] 한국민족문화대백과 다이빙 https://terms.naver.[...]
[8] 웹인용 Diving Qualification System, Tokyo 2020 https://www.fina.org[...] 2020-01-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